2. 자평명리 체계화의 전환점 (당·송)
서자평(徐子平, 10C)이 기존 삼주법을 네 기둥 체계로 확장하면서 ‘자평명리’가 탄생했습니다. 이는 『연해자평』(宋 徐大升 편술)로 집대성됩니다.
2‑② 핵심 인물 & 대표 저서
시대 | 인물 | 저서 / 기여 |
---|---|---|
송(宋) | 徐子平 | 삼주→사주 확립 · 십신 개념 |
명(明) | 萬民英 | 『三命通會』— 대운·신살 체계 통합 |
청(清) | 沈孝瞻 | 『子平粹言』— 격국·용신 세부화 |
2‑③ 학파 분화 & 특징
- 격국론 학파 : 용신 선택 기준을 격국 중심으로 정립.
- 신강·신약 학파 : 일간 강약 + 오행 균형 지표 중시.
- 신살 응용 학파 : 대운·세운 신살(神殺)로 사건성 예측 강화.
2‑④ 주요 저서 & 사료
- 『연해자평』 — 사주 총론 · 십신도(十神圖).
- 『三命通會』 — 대운·격국·신살 통합 가이드.
- 『子平粹言』 — 격국 세분 · 심화 사례.
- 간송미술관 소장 명 간지 목판 만세력 — 현존 최古.
2‑⑤ 현대 연구 쟁점
① 『연해자평』 원본 진위
북송 초간본 여부—대만 국립고궁박물원 마이크로필름 분석 진행 중.
② 萬民英 저작권 논쟁
『三命通會』 일부 장(章)이 청대 첨삭 추정 → AI 필사본 대조 연구(쎄하다 랩).